|
- 제8강 "주역과 점" - 임채우
- 제8강은 점에 대한 정의, 종류, 점법에 대한 설명을 국제뇌교육대학원 동양학과 임채우교수님께서 맡아주셨습니다. 이날 강의에서는 점의 정의와 종류, 점법에 대한 설명이 있었고, 점의 속성을 갖고 놀이로 확장된 윷점에 대한 국가별 윷의 모양과 점법에 대해 흥미있는 설명이 있었습니다.
- 작성일 : 2019-05-15조회수 : 2,137
|
|
|
- 제7강 "현대사회와 무속의 가치" - 황루시
- 7강은 가톨릭관동대 명예교수이신 황루시 선생께서 맡아주셨습니다.이날 강의는 무속의 신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 그 종류는 무엇인지, 그리고 무가의 이야기 내용은 어떠한지를 소상히 밝혀주시는 사이다와 같은 강의였습니다.멀리 강릉에서 와주셨던 교수님은 샤머니즘박물관에 한번 꼭 와보...
- 작성일 : 2019-05-08조회수 : 2,003
|
|
|
- 제6강 "미술이란 무엇인가?" - 변영섭
- 샤머니즘박물관 전통문화학교 제6강 변영섭 교수님께서 “미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주제로 강의를 맡아주셨습니다. 이 강의에서 교수님은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시작으로 한국인의 '맑고 시원함'에 대한 미감이 현 인류에게 미래를 줄 수 있는 가치라고 역설하시면서 회화작품과 공예품에...
- 작성일 : 2019-04-29조회수 : 1,890
|
|
|
- 제5강 "전통춤의 이해" - 채상묵
- 2019년 4월 18일 금성당 샤머니즘박물관 전통문화학교 제5강은 승무의 권위자이신 채상묵 교수님께서 맡아주셨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전통춤의 역사와 현장에 대해 설명해주셔고, 한국의 전통춤에 담겨져 있는 호흡법과 발걸음의 원리 등 실기자로서 체득하신 바를 동영상 자료와 함께 이야기로 풀어서&nb...
- 작성일 : 2019-04-22조회수 : 1,981
|
|
|
- 제4강 "한국의 고가구" - 김삼대자
- 제4강은 "한국의 고가구"라는 주제로 전 홍익대학교 초빙교수를 역임하였던 김삼대자 교수님께서 맡아주셨습니다. 교수님께서는 고려와 조선의 목가구, 그리고 일제시기 목가구의 특징이나 그 가구를 제작한 장인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주셨고요, 지역별 고가구의 장식과 모양이 어떻게 구별되...
- 작성일 : 2019-04-11조회수 : 9,227
|
|
|
- 제3강 "조선 사람들의 차림새와 멋내기" - 이민주
- 제3강은 성균관대에서 박사학위을 받으시고,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선임연구원이신 이민주 박사님이 맡아주셨습니다. 이 강의에서 박사님은 조선시대의 기생과 별감을 중심으로 그들의 의복에 담긴 멋과 거기에 담긴 그들의 욕망에 대해 심미적 관점에서 설명해주셨습니다. 특히 그들의 의복...
- 작성일 : 2019-04-08조회수 : 2,095
|
|
|
- 제2강 단군의 현대적 이해 - 서영대
- 제2강은 인하대 사학과 명예교수이신 서영대 교수님께서 "단군의 현대적 이해"라는 주제로 강의를 진행주셨습니다. 강의내용으로는 단군신화가 한국 역사의 시원을 끌어올리는 중요한 사료이며, 역사성을 내포한다고 역설하셨습니다. 또한 환인과 환국의 표기 문제와 단군인식의 시대적 변천 과정을 ...
- 작성일 : 2019-04-03조회수 : 4,460
|
|
|
- 제1강 전통문화의 이해 - 양종승
- 2019년 제3회 전통문화학교 제1강은 양종승 교수님께서 “전통문화의 이해”라는 주제로 강의해주셨습니다. 이 강의에서 금성당, 화주당, 사신당 등 서울과 옛 경기 지역 일대의 굿당과 무신도, 그리고 상징체계에 대한 구조를 사진자료와 함께 자세히 다뤄주셨습니다.
- 작성일 : 2019-03-25조회수 : 2,136
|
|
|
|
|
|
- 제10강 "샤머니즘과 사후세계" - 양종승
- 제10강 "샤머니즘과 사후세계"는 양종승 관장께서 진행해주셨다. 이날 강의에서는 망자가 넘어야할 강(화주당), 혼백의 분리, 돌아가야할 곳이 어딘인가?, 칠성판, 전승과 이승, 저승의 삼세계에 대한 이론과 함께 자리걷이, 헛장풀이, 망자혼사굿, 씻김굿의 넋건지기 등의 사례에서 사후세계에 대한 사고...
- 작성일 : 2018-11-22조회수 : 3,233
|
|